풀솜대의효능.부작용.번식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풀솜대는 깊은숲속 그늘진곳에 자랍니다.
강원도 화천 깊은 산속 에서 5월초에 발견한
풀솜대 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수 있으며
어린순을 데쳐서 쌈으로 먹고,양념에 무쳐 먹으며
묵나물볶음으로 먹을수 있는 산나물입니다.
또한 전초를 약용 합니다.
다른이름으로 솜때,털솜대,지장보살,
지장나물이라고도 부릅니다.
높이는 20~50cm정도 자라고
잎의 길이가 15cm, 나비가 6~10cm로
2배의 크기로 큰것은 왕솜대라고 합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며 잎은 5~7개로
두줄로 어긋나듯 자랍니다.
꽃은 5~7월사이에 흰색으로 피고
길이 2~3mm의 작은 꽃자루로
꽃의 지름은 5mm정도로 핍니다.
열매는 9월에 붉은색으로 5mm정도
크기로 자랍니다.
풀솜대의 효능
한의학에서 풀솜대 뿌리와 줄기를 말린것을
녹약이라고 하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라고 합니다.
원기를 북돋우고 신장을 강화하며 풍사와
습사를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월경을 고르게 한다라고 합니다.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마비,생리불순,
발기력부전,유방암,종기,타박상, 두통,월경장애,
신체허약증,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풀솜대의 번식법
가을이나 이른봄에 뿌리를 캐어 나누어
분주를 하는 방법과 9월경에 받은 종자를
바로 직파를 하거니 봄에 파종을 합니다.
생육환경으로는 반그늘과 부엽질이 많은곳을
좋아하므로 그늘을 만들어 주는것이 좋으며
습도를 유지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말린약재 30g 물2리터를 넣고 달여 복용 하거나
술로 담가 복용 합니다.
외용제로 뿌리줄기를 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뜨겁게하여 찜질을 하여 사용 한다고 합니다.
말린것을 가루내어 개어서 붙입니다.
풀솜대의 부작용은
따뜻한 성질이 있기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부작용이 나타날수 있으므로
적게 먹거나 먹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깨덩굴의 효능.부작용 (0) | 2020.02.22 |
---|---|
당개지치의 효능.번식 (0) | 2020.02.22 |
영아자의 효능.번식 (0) | 2020.02.22 |
어저귀의 효능.번식.씨앗 (0) | 2020.02.22 |
산머루덩굴의효능.부작용,판매 (0) | 2020.02.22 |